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행복도시 사하, 절경을 품은 철새의 고장 새로운 비전을 품은 도시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하단동 (1,2동)

하단동 (1,2동)

하단의 지명(地名) 유래는 낙동강 끝이란 의미가 담겨 있으며,「아래치」「끝치」라고 풀이된다.

하단 1동, 하단 2동

하단동(下端洞)은 당리, 신평, 사상구 엄궁동과 인접해 있으며, 서쪽으로는 낙동강이 흐르고, 강 건너 명지동과 마주 보고 있다. 하단의 지명(地名) 유래는 낙동강 끝이란 의미가 담겨 있으며,「아래치」「끝치」라고 풀이된다. 동래부지(東萊府誌) 편찬 당시엔 사천면(沙川面) 상단(上端)ㆍ하단(下端)이 있었다. 그 기록에 의하면 사천면 하단에는 786호(戶)의 호수(戶數)가 있었다.

동래읍내(東萊邑內)의 호수 1,165호에 비하면 동래 다음의 대집단부락(集團部落)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동래부지 및 경남여지(慶南與地) 집성(東萊邑誌)에 보면「舊草梁里는 官門에서 三十七里에 있다」고 기록된 것을 보면「구초량」은 하단을 말한 것으로 보인다. 하단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3~4세기경의 철기시대(鐵器時代)부터가 아닌가 한다.

  • 하단진(下端津)에서 신평, 장림쪽으로 조금 산모퉁이를 돌아가면 하단동 패총(貝塚)이 있다. 김해문화기(金海文化期)의 패총으로「모래구찌」라고 불리는 산곡(山谷)에 있다.
    옛날에는 강물이 이 산골짜기까지 들어갔던 듯 토층(土層)에 사역층(沙礫層)이 형성되어 있다. 산이 평화스런 경사를 이루며 3면을 병풍처럼 두르고 앞면만 강을 향해 열려 있다. 패총에서 출토된 유물(遺物)은 현재 부산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패총밑의 갈밭이 있는 늪지대에서도 김해기(金海期)의 토기편이 출토된다.
    하단 동편의 산 모양이 범과 비슷하다 하여「호복구(虎伏口)」라 부른다. 그 산기슭 낙동강가에 신선암(神仙岩)이라 부르는 큰 암석이 하나 우뚝 솟아 있다. 이 바위에 신선이 와서 놀았다는 전설이 전해 오고있다.
    신선암은 바위밑에 작은 굴을 형성하고 있어서 선사시대(先史時代)의 주거지(住居地)일 가능성도 있으나 확인할 수 없다.
    1934년 낙동강 호안공사를 맡은 일본인이 이 바위를 깨어서 돌을 이용하려고 몇 명의 석공을 불렀다. 한 석공이 돌을 깨뜨릴려는 순간 즉사(卽死)했다고 한다. 그 뒤 이 원인불명의 죽음이 마을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감히 이 바위에 손을 대는 사람이 없다.

  • 에덴공원은 다대포 몰운대와 함께 부산의 팔선대(八仙臺) 중의 하나로 강선대(降仙臺)라고 불렀다. 고려말 무학대사가 전국을 두루 다니며 산세(山勢)를 살피다가 이곳에 이르러 동쪽 맞은 편에 있는 산을 보니 마치 학이 웅비하는 듯하다고 하여 승학산(乘鶴山)이라 지었고, 그 산에서 신선이 학을 타고 이곳으로 내려왔다고 하여 강선대라 불렀다.
    이 강선대를 중심한 산의 소유주가 독실한 기독교 교인이 되어 구약성서에 나오는 에덴동산을 기리어 에덴공원이라는 이름으로 공원을 개발하여 도시인의 휴식공간과 함께 관광명소를 이루기 위해 제반시설을 갖추었다. 그 당시(1970년대)만 해도 강변에 야외음악당과 공연장, 그리고 토속적인 술집들로 젊은이의 광장이 되어 있었다. 그리고 공원 입구에 에덴공원이라는 팻말을 세웠는데 그 당시 이 앞을 지나는 버스 차장이 정류소 이름으로 활용함에 따라 지금까지 에덴공원이라고 불리어 지고 행정상 지명도 에덴공원으로 명명하기에 이르렀다.

  • 하단은 갈밭이 많아서 갈대나 갈꽃으로 일용 수공품을 만들었고, 지붕과 울타리도 갈대를 사용하였으며, 땔감으로도 이용하는 등 갈대와 주민 생활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1973년 당리ㆍ하단지구 구획정리 사업으로 많은 농경지구가 주택지로 바뀜에 따라 갈밭 무성한 옛날의 낭만은 찾아 볼 수 없다.

  • 하단포(下端浦)는 부산항 개항(開港)(1876년) 당시 부산으로 들어오는 모든 물자가 모였고, 이곳에서 다시 낙동강 물을 이용하여 내륙지방에 운반되던 상업의 요지였다.
    당시 상인들은 인근 명지에서 생산되는 소금을 싣고 삼랑진(三浪津), 왜관(倭館), 상주(尙州)로 드나들며 나락과 교환했다.
    하단포에는 나락을 사들여 도정(搗精)하는 객주업(客主業)이 발달하였고, 소금과 곡식 더미가 곳곳에 쌓여 있었다. 1892년 7월 처음으로 기계 시설에 의한 부산정미소(釜山精米所)가 생기면서 하단포에 닿은 낙동강 유역과 김해평야의 나락이 이곳으로 운반되어 정미소로 들어가기도 하고 일본에 수출하기도 하였다.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담당자
문화예술과 (051-220-4082)
최근업데이트
202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