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행복도시 사하, 절경을 품은 철새의 고장 새로운 비전을 품은 도시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괴정동 (1,2,3,4동)

괴정동

괴정(槐亭)은 팔정자에 얽힌 사연이 있는
회화나무(槐木)에서 유래된다.

괴정 1동, 괴정 2동, 괴정 3동, 괴정 4동

괴정동(槐亭洞)은 승학산의 서쪽 능선이 마을 뒤를 병풍처럼 둘러져서 세찬 북풍과 낙동강 강바람을 막아 주고, 동쪽으로 시약산(蒔藥山)이 솟아 있고, 남쪽에는 금티산(金峙山)이 솟아 그 줄기가 서쪽으로 나즈막한 구릉(丘陵)을 이루어 해풍(海風)을 막아 주는 방파제 구실을 하고 있다.

새리골(세리골)에서 흘러내린 물이 괴정천(槐亭川)을 이루어 괴정촌을 반월형(半月形)으로 흘러 이 마을을 윤택하게 하고, 하단 포구로 흘러 들어간다. 따라서, 괴정동은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하나의 분지(盆地)를 형성하고 있다.

괴정(槐亭)의 지명(地名)은 팔정자에 얽힌 사연이 있는 회화나무(槐木)에서 유래된다.

  • 수령이 600년이 넘는 이 나무는 가렴주구에 혈안이 된 포악한 다대포 첨사의 이야기와 동래부사의 벌목령 등 많은 전설을 안고 있으며, 회화나무의 또 다른 이름인 괴목(槐木)에서 마을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괴정 1동을「고분들」·「본동」이라 불렀고, 희망촌(괴정4동)을「말골」·「마하곡」·「소태미」라 하였다. 6·25사변 때 피난민들이 살던 보수천변 판자촌과 동광동 판자촌 화재 이재민들이 이사하여 새로된 마을이 괴정3동에 있는「신촌(新村)0이다.

    또, 신촌 건너편 북쪽 산기슭에 간이 주택촌이 들어서서「양지(陽地)」마을을 형성하였고, 서대신동으로 넘어 가는 괴정동 대티(大峙)고개 밑에 있는 마을을 대티동이라 불렀다.

  • 이와 같은 마을들의 명칭을 종합하면, 괴정동에는 곳곳에 옛부터 촌락을 형성하고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괴정동은 지리적으로 사람이 살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선사시대(先史時代)부터 사람들이 마을을 일구워 살았다.

    괴정분지에서 농경(農耕)에 종사하고, 동쪽 구릉을 넘어 감천 앞 바다에서 고기를 잡고, 아랫머리 산줄기를 돌면 조개와 물고기가 수없이 많은 낙동강 포구에 이르고, 배고개를 넘으면 신평 너른 들과 강가에 다다랐으니, 그 당시 식생활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입지적 조건을 갖추었다.

  • 뿐만 아니라, 신평동으로 넘어가는「삼밭골」에서 삼농사를 지어 옷을 만들어 입었고, 하단 갈밭에서 거두어 들이는 갈꽃은 솜의 역할을 하여서 추위를 막아 주었다.

    실제로 괴정동 패총(貝塚)에서 실을 꾀는데 사용한 방추자(紡錘車) 두 점이 나왔다. 그리고, 이 병도 박사도 갈꽃이 면재배(綿裁培) 이전에는 솜의 역할을 대신했고, 명주가 나온 뒤에도 가난한 백성들은 갈꽃을 삼베옷 사이에 넣어 겨울을 지냈다고 한국사(韓國史)에 썼다.

    괴정동에서 선사유적(先史遺蹟)과 유물(遺物)이 발견된 지점은 지금 장평 중학교 교문옆 길가와 대티(大峙)로 올라가는 옛길 입구 즉 신동 교역회사 공장뒤편의 주택가, 그리고 지금 괴정(槐亭)초등학교 남쪽 길건너 냇가 일대에서 청동기 시대의 무문토기(無文土器) 유물이 쏟아져 나왔다.

  • 민무늬토기에 단(丹)을 칠한 완형토기(完形土器)가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예는 별로 없었다.
    그러나, 이 토기는 일본의 이른바 야요이식(彌生式) 토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어 더욱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민무늬토기를 비롯한 유물들은 도로확장공사 중 우연히 발견되었다.
    주택이 들어서기 전부터 발굴을 하고 보존을 잘 하였다면, 우리 선조들의 생활 모습과 더 많은 유물이 발굴되었을 것으로 보아 아쉽다. 괴정동에 남아 있는 큰 나무(槐木) 두 그루 중 산록에 있는 고목(古木)을 중심한 주변 일대가 패총(貝塚)이 있었으나, 지금은 사람들이 집을 짓고 살아서 완전히 없어져 버렸다. 아니 집 밑에서 옛 선인(先人)들의 유물들이 잠자고 있을지도 모른다.

  • 이 패총은 1929년 11월 24일 일본 사람 좌산우좌길(佐山右佐吉)이 발견하여 대곡미태랑(大曲美太郞)과 함께 조사했다. 그 뒤 기록이 분명하지 않고 있는 곳도 잘 모르다가 1978년 길을 크게 넓히는 공사를 하다가 패총이 있는 곳을 찾아 부산대학교 박물관 팀이 처음으로 조사하였다.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담당자
문화관광홍보과 이혜진 (051-220-4082)
최근업데이트
2024-01-24